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쓰레기봉투에 과태료? 분리배출 핵심 정리

by goldpine 2025. 5. 27.
반응형

가운데 재활용 마크가 있고, 그 마크가 붙어있는 여러색깔의 수거 통 6개가 있는 그림

일상에서 무심코 종량제 봉투에 넣어버리는 쓰레기 중, 사실은 분리배출해야 하거나 제대로 분리하지 않으면 과태료까지 부과될 수 있는 쓰레기들이 있습니다.

자원순환 사회경제연구소 홍수열 소장은 "분리배출 기준은 쓰레기가 어떻게 재활용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분리배출의 핵심 원칙과 특히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비닐류, 플라스틱, 유리, 금속, 종이의 분리 기준에 대해 상세히 소개합니다.

✅ 분리배출 기본 원칙

- 분리배출 표시가 있는 제품은 반드시 분리배출!

- 내용물 비우기 → 헹구기 → 라벨 제거하기가 기본.

- 쓰레기로 보낼지, 재활용할지는 제품의 재질과 재활용 공정의 기준에 따라 판단.

🚫 종량제 봉투에 넣으면 안 되는 대표적인 쓰레기 3가지

1. 고무장갑

고무는 재활용 불가. 많은 사람들이 비닐로 착각하고 배출하지만,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함.

2. 일회용 라이터

내부에 가스가 남아 있는 위험 폐기물. 플라스틱이나 금속류로 버리면 화재 위험이 있음. 반드시 종량제 봉투로 배출!

3. 크리스털 유리 & 내열 유리

유리냄비, 유리주전자, 고급 유리컵 등은 유리병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녹거나, 납 성분이 포함돼 있어 재활용 불가.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함.

♻️ 헷갈리기 쉬운 분리배출 Q&A

Q. 종이 라벨이 붙은 비닐, 떼야 하나요?

떼는 것이 좋지만, 떼기 어렵다면 그냥 배출해도 무방.

Q. 은박지 코팅 과자봉지, 재활용될까?

비닐류로 분리배출 가능. 알루미늄 코팅이 되어 있어도 재활용 공정에는 큰 영향 없음.

Q. 파우치 포장의 마개는 분리해야 하나?

마개도 함께 배출 OK. 어차피 태워서 재활용하기 때문에 따로 분리하지 않아도 무방.

🔍 꼭 알아야 할 분리배출 팁

🟡 플라스틱

같은 재질, 특히 투명/백색 플라스틱은 고품질 재생 원료가 됨. 칫솔, 장난감처럼 작고 복합재질인 제품은 선별이 어려움.

🟠 종이

물에 잘 풀리지 않는 양면 비닐 코팅 종이는 재활용 불가. 아이스 음료 종이컵, 일부 전단지, 멸균팩 등은 쓰레기 처리해야 함.

🔵 유리

깨진 유리, 거울, 도자기, 사기그릇은 재활용 안 됨 → 반드시 일반 쓰레기로!

종이 라벨은 크게 문제 되지 않으며, 유리병에 붙은 알루미늄 마개도 그대로 배출하는 것이 좋음.

⚪ 금속류

알루미늄 포일류는 모아서 야구공 크기 정도로 뭉쳐야 선별 가능.

캔은 눕혀서 눌러야 자석에 붙고 선별이 쉬움.

비닐 라벨이 붙은 알루미늄 캔은 라벨 제거 필수.

📱 유용한 앱 & 서비스

내 손 안의 분리배출 앱: 품목별 검색 가능. 헷갈릴 때 필수.

에코야 얼스 앱: 종이팩 수거 신청, 택배로 배출 가능. 포인트 보상도 있음.

🌍 왜 분리배출이 중요한가?

분리배출은 단순히 ‘쓰레기를 줄이는 행위’가 아니라 자원순환 사회로 가기 위한 필수 행동입니다.

정확하게 분리배출을 실천하면 자원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소각/매립에 따른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내가 잘한다고 세상이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 있지만, 모두가 함께 실천할 때 비로소 변화가 시작됩니다.

우리 모두 올바른 분리배출로 기후위기와 자원 고갈을 막는 데 힘을 보태봅시다!

 

반응형